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Project
- LIKELION
- object
- terminal
- API
- 변수
- True
- ubuntu
- boolean
- Inline
- CSS
- 프론트엔드스쿨
- javascript
- display
- 조건문
- function
- js
- 멋쟁이사자처럼
- 선언
- http
- 선택자
- HTML
- position
- block
- array
- Absolute
- STYLE
- false
- react
- 리액트
- Today
- Total
Jeden Tag, aufrichtig und lustig.
dev 1. Front-end vs Back-end 본문
Front-end vs Back-end
개발자가 되기로 결정했으면,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중에서 어떤 분야의 개발자가 될 지 선택해야한다.
최종적으로는 두 분야의 지식을 둘 다 겸비한 풀스택 개발자가 되어야 하지만
갓 배우기 시작한 단계에서는 한가지 분야를 정하고, 먼저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오늘은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의 차이점을 소개해 보고자 한다.
Front-end ?
프론트엔드는 쉽게 말하자면 웹브라우저에서 보여지는 화면 부분을 얘기한다.
이 때 html-css-java script가 유기적으로 사용된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화면 부분을 개발하는만큼
예술적인 감각이 있으면 업무를 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필수적인 요건은 아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하는 업무는 크게 다음과 같다.
1. UI개발
2. Event 로직개발
3. 크로스 브라우징 / 디바이스
4. 데이터 시각화
위와 같은 업무를 할 때 java script가 중요하게 활용되므로
java script 언어를 잘 다룰 수 있도록 학습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바스크립트만 활용해서도 앱 / 웹 개발이 가능하므로
창업을 하고픈 아이디어가 있고 실현하고 싶다면
프론트엔드 분야만 배워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아래에 해당하면 프론트엔드 분야를 고민해봐도 좋을 것 같다.
1. 창업 / 아이디어 / 나만의 것을 실현하고 싶다.
2. 웹브라우징 할 때 사용자 관점에서 생각한다.
3. UI가 아름답고 완벽한 사이트에 관심이 있다.
참고로 CTO에 관심이 있다면 백엔드 경험이 있으면 좋다.
Back-end ?
백엔드는 화면이 잘 구동 될 수 있게 데이터를 정제하는 역할을 주로 한다.
화면 뒤에서 일어나는 서버 및 데이터 정제와 관련된 일을 한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데이터가 적재적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아래 언어를 주로 사용한다.
-java script
-python
-java
-php
백엔드 개발자가 하는 업무는 크게 다음과 같다.
1. API 생성
2. Data pipeline 구성
3. Infrastructure & Architecture
백엔드 또한 위와 같은 업무를 할 때
java script를 잘 활용해야 하므로 이를 인지하며 학습해야 한다.
아래에 해당하면 백엔드 분야를 고민해봐도 좋을 것 같다.
1. 전체적인 흐름을 보며 기획자와 소통하고 서비스를 구성하는데 관심이 있다.
2. 데이터 중심적인 사고를 한다.
3.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관심이 있다.
업무 프로세스
어떤 회사를 가든 협업을 기본으로 업무가 진행된다.
개발자는 어떤 팀과 주로 협업하는지,
구체적으로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는 누구와 협업하는지 잠깐 알아보자면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다.
기획자 - 백엔드 - 프론트엔드 - 디자이너 - 기획자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어떤 팀과 협업하는지 생각해보면
업무 프로세스가 머릿속에 그려질 것이다.
또한 협업 능력을 계속해서 발전시켜 나가면
실무에서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같이 백엔드와 프론트엔드의 차이점에 대해 얘기해 봤는데,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분야를 선택하는 기준 중에 중요한 것은 '성향' 이다.
본인의 성향을 잘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develo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v 4. 개발자도구 네트워크 탭 (0) | 2022.07.22 |
---|---|
dev 3. semantic tags / semantic web (0) | 2022.07.19 |
dev 2. coding (0) | 2022.06.15 |